전기 관련 분야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국가 자격증은 단연 전기기사와 전기산업기사입니다. 두 자격증 모두 산업 현장과 공기업, 공무원 시험, 기술직 취업에서 매우 유용하게 쓰이지만 그 자격요건, 시험 범위, 난이도, 활용도는 조금씩 다릅니다.
이 글에서는 2025년 현재 기준으로 전기기사와 전기산업기사의 차이를 세부 항목별로 비교하고, 어떤 자격증을 먼저 준비하면 좋은지, 진로와 목표에 따른 선택 기준까지 안내해 드립니다. ⚙️
📌 기본 개념 및 등급 차이
항목 | 전기기사 | 전기산업기사 |
---|---|---|
자격 등급 | 기사 (기술사·기능장 위) | 산업기사 (기사보다 한 단계 아래) |
공식 분류 | 국가기술자격 기사 1급 | 국가기술자격 산업기사 2급 |
난이도 | 상 (어려움) | 중 (중급 수준) |
활용도 | 전기공사 감리 가능, 설계·감독 책임자 가능 | 중급 기술자, 일부 감리 보조 가능 |
전기기사는 산업기사보다 상위 등급의 자격증으로, 보다 전문적인 기술관리 및 책임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
🎓 응시 자격 비교
전기기사 응시 자격
- 4년제 전기·전자 관련학과 졸업(예정자 포함)
- 3년제 전문대 + 1년 경력
- 2년제 전문대 + 2년 경력
- 순수 경력 4년 이상
전기산업기사 응시 자격
- 2~3년제 전기 관련 학과 졸업(예정자 포함)
- 고등학교 전기과 졸업 + 1년 경력
- 기능사 취득 후 관련 경력 1년 이상
- 순수 경력 2년 이상
전기산업기사는 전문대 또는 실무 경력자에게 문턱이 낮은 자격입니다.
📚 시험 과목 및 구조 비교
전기기사 시험 구성
- 필기 (객관식 4지선다)
- 전기자기학
- 전력공학
- 전기기기
- 회로이론
-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
- 실기 (주관식 서술형) – 전기설비설계 및 관리
전기산업기사 시험 구성
- 필기 (객관식 4지선다)
- 전기자기학
- 전기기기
- 전력공학
-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
- 전기설비기술기준
- 실기 (필답형) – 전기설비 유지관리
공통 과목이 많지만, 기사 쪽이 난이도와 심화 수준이 더 높습니다.
📊 합격률 비교 (2024년 평균)
- 🔹 전기기사
- 필기 합격률: 약 30~35%
- 실기 합격률: 약 20~25%
- 🔹 전기산업기사
- 필기 합격률: 약 40~45%
- 실기 합격률: 약 30~35%
두 시험 모두 실기에서 탈락률이 높으며, 충분한 문제풀이 연습이 필요합니다.
🏢 활용처 및 진로 비교
분야 | 전기기사 | 전기산업기사 |
---|---|---|
공공기관/공기업 | 한국전력, 발전공기업, 시설기술직 등 우대 | 한국전력, 지방전력공사 일부 우대 |
기술직 공무원 | 7급/9급 전기직 가산점 + 경력 인정 | 9급 전기직 가산점 |
설계/감리/감독 | 전기공사 감리·책임자 가능 | 보조 감리 가능 |
취업 분야 | 건설, 플랜트, 발전소, 대기업 공무팀 | 건물 관리, 유지보수, 중소기업 설비팀 |
💰 연봉 및 커리어 차이
- 🧑🏭 전기기사
- 초봉: 약 3,500만 ~ 4,200만 원
- 중견기업 이상: 5,000만 원 이상 가능
- 공기업 전기직 채용 시 필수급 자격증
- 👷 전기산업기사
- 초봉: 약 3,000만 ~ 3,500만 원
- 중소기업 기준 설비/보수직 취업 유리
- 전기기사 취득 전 단계로 활용 가능
📈 어떤 자격증을 먼저 준비할까?
- 📚 전공자(전기·전자 전공) → 바로 전기기사 도전 추천
- 🔧 실무 위주 경력자 or 기능사 소지자 → 전기산업기사부터 시작
- 🎯 공기업 준비생 → 전기기사 필수
- 🧰 설비/보수 기술자 → 산업기사로도 취업 가능
자격요건에 따라 둘 중 하나만 응시 가능하므로, 본인의 학력·경력 조건을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.
✅ 결론: 전기기사 vs 전기산업기사, 목적에 따라 선택하자! ⚡
전기기사는 전기산업기사보다 상위 자격증으로, 책임 있는 기술직무, 고급 감리, 대형 프로젝트 참여가 가능합니다. 하지만 난이도는 더 높고, 요구 자격조건도 까다롭습니다.
전기산업기사는 전기기사에 비해 응시 조건이 완화되어 있고, 실무 입문용 자격증 또는 전기기사 도전 전 디딤돌로 적합합니다.
공기업, 공무원, 발전소 등 기술직 진로를 목표로 한다면 전기기사를, 현장 취업이나 설비 관리직을 빠르게 진입하고 싶다면 산업기사부터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.
두 자격증 모두, 전기 분야에서 확실한 경쟁력을 제공하는 자산입니다! ⚙️📐
※ 본 콘텐츠는 2025년 기준 한국산업인력공단(Q-Net), 전기기술인협회, 에듀윌/해커스 자격 정보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